[카테고리:] 과학&기술

  • 크롬OS 플렉스 설치하기

    USB를 만들어서 사용할 예정이다

    크롬북 복구 유틸리티

    여기에서 다운받은 플러그인을 실행하고 크롬os flex를 설치하면 된다.

    생각보다 너무 쉽네….

  • 에디슨모터스 홈페이지에 대한 간단한 의견

    에디슨 모터스라고 전기버스 회사가 있다. 서울에서 버스를 기다리다 보면 평소에는 못 보던 마크를 달고 다니는 버스가 간간히 있는데 이 회사에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

    검색해본 김에 홈페이지에 들어가 봤는데 21년 말 기준으로 쌍용차 인수때문에 바쁜건지 아니면 홈페이지에 관심이 없는 건지 관리가 안되고 있다.

    작은 해상도에서 레이아웃이 깨져 나간다.

    우선 SSL인증서가 없는 것과 반응형 디자인은 그렇다 치고 차량 정보로 넘어가 보자.

    가서 보면 알겠지만 아래쪽의 제원과 맞지않는 토크

    출력 표시들이 한 가지 단위로 통일되어 있지 않고 차량 정보 마다 다른 단위가 쓰여져 있다.

    여러가지를 하나씩 눌러봤는데 협력사 SCM의 경우 오류가 뜨고 있다.

    서버아이피는 숨겨놓아야 한다.
    그리고 지원종료된건 마이그레이션 하거나 보안관리를 잘 하거나 해야한다.

    오류는 해결하시길 바라며, 투자자들 입장에서 에디슨 모터스를 못 미더워 하는게 기술력과 의지는 있다고 홍보는 많이하는 것에 비해서 허술한 것들이 있다.

    이런 사소한 것들에서 의심 들게 하는 게 에디슨 모터스에도 결코 좋은일은 아닐것이다.

    기업 소개 페이지가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전문투자자에게는 자료를 직접 주겠지만 소액주주입장에서는 조금 아쉽기도 하다. 아래 사진은 IT업체라 그런지 매우 깔끔한 홈페이지의 전형을 보여준다.

    에디슨 모터스도 4차 산업혁명의 물결에 타고 가는 업종이면 조금 더 IT쪽에 관심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깔끔한 NHN의 회사 홈페이지

    몇가지 덧붙이자면 아마 그룹 웨어랑 협력사SCM,그리고 원격지원이 별개의 시스템으로 돌리고 있는 것 같은데 통합 시스템 업체 찾아서 이용하게 하는 게 좋아보인다.

    차량 소개 페이지와 회사 홈페이지는 분리하고 회사 홈페이지는 조금 더 신뢰가 가게 만들어야 할 것 같다.

    솔직히 이 회사는 쌍용차 인수 의지를 내보이기 이전부터 관심 있게 보고 있던 회사여서 그런지 많이 아쉽다.

    보통 회사 홈페이지가 관리가 안되는 회사는 망할 회사거나 아니면 관리할 시간도 없이 바쁜 회사라는데 나는 후자라고 믿고 싶다.

  • 요즘 초등학교 문제는 어려워

    다음 ? 에 들어갈 수를 쓰시오.

    단톡방에 갑자기 들이닥친 수학문제 !

    규칙이 보이지 않아서 다들 뭐지뭐지 하다가 해답을 알아냈습니다.

    한번 고민해보시고 해답을 보고싶으시면 스크롤을 내려 답을 확인해 주세요.

    답은 46이었습니다.

    이걸 초등학생이 어떻게 풀지????

    규칙은 (숫자1)(숫자2)+(숫자2-숫자1)(숫자2-숫자1+1)였습니다.

    따라서 8*5+(5-8)*(5-8+1) = 40+(-3)*(-2) = 46

    규칙을 꿰뚫어 보는 눈을 가지라는 소리가 있긴 한데, 이건 너무 심한것 같아요.

  • 시작점,도착점,이동거리를 이용한 경로계산

    이동경로는 반드시 시점과 종점을 초점으로 가지는 타원안에 존재하게 된다.

    이동거리와 초점을 이용해서 단축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displaystyle {\frac {(x-\alpha )^{2}}{a^{2}}}+{\frac {(y-\beta )^{2}}{b^{2}}}=1}

    타원의 방정식을 통해 단축의 값을 이용해 장축을 알아낼 수 있다.

    이동거리가 시작점과 종점사이의 거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 경로는 1가지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경우 시점(종점)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거리 절반을 반지름을 가지는 원을 그리게 된다.

    이 외의 경우에는 타원내에 경로가 생성된다. 

    이심률을 이용해서 직선AB에서 C(D)가 어느정도 떨어져 있는지 계산한다.(위에서 계산한 단축의 거리는 단축 거리가 최대일 때 이다.)

    단축의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경로는 좀 더 직선 AB에 가까워지고 이는  조금 더 경로예측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맨위의 사진은 이러한 시점 종점을 연달아 이어 붙인 것이다.

    파란 궤적을 각 포인트와 그 사이의 이동거리를 기록한다면 타원 범위 안에서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시점 종점 수평 선상(직선 AB)에서 얼마나 벗어나는지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이용해 경로의 예측 확률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지도 데이터(MAP레이어)와 결합해서 가지 않은 곳을 확인해 그 지역에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거나 도로에 적용한다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꼭 지나야 하는 지점을 타원 내 지점으로 설정할 경우 최적의 이동 경로를 뽑아 낼 수 있어 효용성이 있어 보인다.  

  • 테슬라가 태양광루프 자동차를 포기한 이유

    테슬라 “전기차 지붕에 태양광 패널 장착”…모델 3 위한 태양광 유리 패널 부서 신설
    Tesla Model 3: Elon Musk virtually kills the possibility of a solar roof option

    (테슬라 모델3: 앨런 머스크는 사실상 솔라루프옵션을 죽였다.)

    prius solar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테슬라의 아이디어는 위의 이미지(프리우스)처럼 차 위에 태양광 발전 패널을 달아서, 주차하고 있을 때 충전해서 저장된 에너지를 주행때 쓴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것을 포기하게 된 데에는 여러가지 큰 이유들이 작용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태양광 효율입니다. 도요타 프리우스PHEV는 날씨가 쨍쨍할 때 기준으로 하루에 약 3.5km를 더 달릴 수있다고 합니다. 보통 연비가 리터당 10km 정도가 나오는 자동차라고 가정해보면 겨우 300cc 가량의 휘발유를 넣은셈이지요.

    가격적인 면 역시 큰 걸림돌입니다. 휘발유 1L의 가격이 약 1700원이라 해도 솔라패널루프 가격인 200만원 가량을 뽑아내려면 10만년 정도가 걸립니다.

    디자인면에서도 검은 패널은 마이너스 요소입니다. 아직까지는 검은색이 아닌 태양광 패널은 효율이 낮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의 자동차와 어우러지기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또한 사고가 났을때 감전되는 경우와 유리로 된 패널이 깨져 생기는 위험도 도입포기의 큰 이유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발전할 태양광 발전 패널은 어떨까요?

    과연 태양광 발전만으로도 자동차를 운전할수 있게 될까요?
    간단하게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자동차는 차폭 2m와 전장 5m를 가집니다. 여기에 모서리 부분을 빼고 패널을 올린다면 약 8제곱미터정도의 패널을 붙일수 있습니다.

    직사광선으로 내리 쬘때 지구(한국)에는 1제곱미터당 1시간에 약 893W의 에너지를 태양으로부터 공급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효율 좋은 태양광패널은 약 40%의 효율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8m^2)*(893W)*(40%)=2858W를 1시간에 공급받을수 있습니다. 전자렌지랑 전기밥솥을 동시에 쓸수 있는 양이네요.

    다만 우리는 일조시간을 추가해야 합니다. 밤에는 해가 떠있지 않으니까요. 또 기상상태나 구름도 모두 고려해야 됩니다.

    우리나라의 일조시간은 약 2200~2300시간으로 전체 시간중 26%정도입니다. 따라서 위에식에 26%를 곱해줍니다.
    2858*(26%)=743W

    시간당 743W를 얻을수 있습니다. 0.743kW네요. 하루에는 17.8kW.

    이제 자동차의 연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환경부 환경공단이 인증한 국내 시판 전기차별 주행 거리를 기준으로 약 1kW당 7km 정도라고 가정하고 계산해보겠습니다.

    그러면 하루에 17.8kW*(7km/kW) = 124.6km 정도가 나옵니다. 참고로 방전된 상태에서 태양광만으로 간다면 시속 5km정도로 밖에 못가겠네요.

    하루의 주행거리는 그럭저럭 나오는 수준입니다. 다만 이게 자동차의 윗면의 80%이상을 태양광 패널로 도배한다는게 문제지만요.

    그리고 지하주차장 같은데 주차하지 않는다면요. 우리나라 아파트에 있는 대부분의 주차장은 지하주차장이라는게 걸림돌이군요. 뭐 장거리뛰거나 한다면 배터리의 용량을 키워서 충전하면 되니까 문제는 안 되겠죠?